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불편하시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시복지재단 고립예방센터는 개인 생활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스마트돌봄서비스'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고 27일 밝혔다.
스마트돌봄서비스는 일상에서 발생하는 전력, 통신, 조도 등의 생활데이터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이 24시간 감지·분석해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관련 기관이 직접 안부를 확인함으로써 고독사 등을 예방하는 복지서비스다.
그동안은 총 6가지 스마트돌봄서비스 중 자치구별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해 도입하는 방식이었다.
센터는 개인의 특성과 성향, 행동 유형에 맞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더 섬세한 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로 했다.
예컨대 가전제품을 규칙적으로 사용한다면 전력데이터에, 휴대전화 통화와 앱을 자주 사용한다면 통신데이터에 각각 기반한 스마트돌봄서비스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안부 확인의 정확도와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센터는 연내 스마트돌봄서비스별 활용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용자 인터뷰를 실시해 '적합성 조사항목'을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실제 조사를 통해 조사항목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후 가이드라인 개발을 완료한다. 완성된 가이드라인은 각 자치구에서 시민에게 서비스 지원 시 활용할 수 있다.
이수진 서울시고립예방센터장은 "스마트돌봄서비스가 고독사를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려면 개인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로 이러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Copyright 연합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상품 확인하고 계속 읽어보세요!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