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명품 플랫폼 발란 일부 판매자 정산 지연

입력 2025-03-27 11:15:03


"재무 점검 중 정산금 과다 지급 발견…재산정해 지급"


1천300여 입점 판매자들은 불안…제2 티메프 사태 우려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최근 수년간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은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일부 입점사에 대한 판매대금 정산이 늦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정산대금을 입금하지 못했다.


발란은 입점사별로 일주일, 15일, 한 달 등 세주기로 입점사의 판매대금을 정산하는데 당일 정산 주기가 돌아온 입점사에 대금을 제때 주지 못한 것이다. 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원 안팎이며, 전체 입점사 수는 1천300여개다.


이와 관련해 발란은 해당 입점사에 "자체 재무 점검 중 정산금이 과다 지급되는 등의 오류가 발견돼 정산금을 재산정하고 있다"고 개별 공지했다.


그러면서 "26일까지 재정산 작업을 마무리하고 28일까지는 입점사별 확정된 정산액과 지급 일정을 공유하겠다"고 했다.




발란

[발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티몬·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지켜본 발란 입점사들은 정산 지연에 크게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정산 지연 공지가 발송된 지 하루 뒤인 지난 25일에는 판매자 20∼30명이 발란 사무실을 찾아 거세게 항의해 경찰이 출동하는 상황까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발란 측은 직원들의 신변 안전을 우려해 전날부터 전 직원 재택근무로 전환했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은 오프라인 매장 대비 뛰어난 가격경쟁력과 저마진 구조를 내세워 코로나19 전후로 비교적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엔데믹(endemic·풍토병화된 전염병) 이후 고물가와 고금리, 판매 부진 등이 겹치며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3년 말 기준 자본총계가 -77억3천만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출범 이후 매년 적자가 누적된 탓이다.


발란은 지난 2023년에도 9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매출은 392억원으로 56% 급감했다.


발란의 유동자산은 56억2천만원, 유동부채는 138억1천만원으로 유동비율 40.7%에 불과하다.


1년 새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보다 1년 내 상환해야 할 부채가 2배에 이르는 셈이다. 유동비율이 낮을수록 유동성 위험이 크다고 본다.


현 상황에 대해 발란 측은 아직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발란의 경영과 관련한 의사 결정권을 쥔 최형록 대표는 현재 회사 주요 임원과도 연락이 잘 닿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란 관계자는 "현재 관련 이슈의 정확한 경위를 파악 중"이라며 "미정산 문제와 관련한 판매자 불안을 불식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lucho@yna.co.kr



많이 본 최근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