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국내 건설현장 근로자 7명 중 1명은 외국인…조선족 84% 압도적

입력 2025-05-20 09:00:02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불편하시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작년 외국인 건설근로자 23만…조선족 이어 조선족 뺀 중국인·베트남인·고려인順


건설근로자공제회 '건설현장 리포트' 발간…절반이 '재외동포 비자'로 체류




건설 근로자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성진 기자 = 지난해 국내 건설업에서 일한 외국인 근로자가 약 23만명이었고 이 가운데 84%가 한국계 중국인(조선족)으로 나타났다.


건설근로자공제회는 20일 이런 내용이 담긴 '건설현장 리포트'를 발간했다.


공제회가 퇴직공제에 가입한 외국인 건설근로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작년 국내 건설업에서 일한 외국인 근로자는 전체 건설 근로자의 14.7%에 해당하는 22만9천541명이었다.


체류자격과 국적이 확인된 근로자 중에서는 조선족인 한국계 중국인이 83.7%로 가장 많았고 이어 조선족을 제외한 중국인(5.9%), 베트남인(2.2%), 한국계 러시아인(고려인·1.7%)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자격을 보면 재외동포비자(F-4)가 50.4%로 전체의 절반이었다.


이 비자는 한때 대한민국 국적이었거나 부모 또는 조부모 중 한 명이 대한민국 국적이었던 외국 국적 동포에게 부여된다.


공제회 조사연구센터는 "F-4 비자로는 단순 노무직에 취업할 수 없음에도 현실에서는 이 비자를 가진 근로자들이 건설 현장에서 다수 일하고 있다"며 "이는 제도와 현실의 괴리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외국인 근로자의 평균 입직 나이는 42.5세로 내국인(45.7세)보다 3.2세 적었고 수도권 근무 비율이 66% 이상으로 나타나 특정 지역 집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건설현장 리포트는 공제회 홍보센터(cwma.bigzine.kr)를 통해 누구나 열람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sungjinpark@yna.co.kr



인기상품 확인하고 계속 읽어보세요!

5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연합뉴스 콘텐츠 더보기

해당 콘텐츠 제공사로 이동합니다.

많이 본 최근 기사

관심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