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불편하시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뉴버거 백악관 前부보좌관, 한경협 세미나 기조연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같이 광범위한 정보 유출과 사회적 혼란을 낳는 사이버 공격에 맞서려면 정부와 민간의 협력과 국제적 연대가 필수적이라고 사이버 안보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가 제언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국가안보 부보좌관을 지낸 앤 뉴버거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교수는 2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FKI)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가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공동 주최한 '인공지능(AI) 시대의 디지털 주권과 사이버 안보' 세미나에서 민관 협력을 통한 체계적인 방어 역량 강화와 국제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백악관 펠로우 출신인 뉴버거 교수는 2010년 미국 국가안보국(NSA)에 합류했으며 2019년 미국 사이버보안국 초대 국장을 역임했다. 2021년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NSC 부보좌관을 맡아 지난 1월까지 재임하며 미국 내 주요 사이버 공격 대응을 이끈 핵심 인사로 꼽힌다. 2017년에는 미국 대통령 훈장을, 2020년에는 미국 국방부 우수 민간인 공로상과 NSA의 우수 공로 훈장을 받은 바 있다.
뉴버거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미국 정보기관에서 15년간 공격과 방어를 모두 경험했으며 방어가 종종 뒤처지는 것을 목격했다"며 "방어와 공격의 경쟁이 펼쳐지고 있으며, 우리는 방어에서 반드시 앞서야 한다"고 밝혔다.
뉴버거 교수는 지난해 버라이즌, AT&T, T모바일 등 미국의 3대 통신사를 포함한 9곳의 네트워크가 해킹 공격을 받은 사건에서 국가안보 부보좌관으로서 직접 사태 수습을 이끌기도 했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대선 캠프 관계자도 표적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중국 정부와 연루된 해커들이 해킹의 배후로 지목됐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뉴버거 교수는 "미국 주요 통신사 해킹 사건 당시 최초 탐지는 민간 사이버보안 기업이 미국 정부에 이를 알리면서 시작됐다"며 "백악관에서는 통신사 최고경영자(CEO)들을 소집해 업계 전반의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대응했다"며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이어 "해킹 위협에 맞서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해킹 범죄가 모든 국가를 표적으로 삼는 만큼 민관 협력과 국제적 연대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 해킹 사태도 미국 통신사 공격 사례와 같이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커 집단의 소행일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피해를 본 기업의 개별 대응을 넘어 국가 차원의 대응 전략과 국제적 협력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뉴버거 교수는 아울러 미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의 수도·전력 시스템에서도 악성 코드가 발견되고 있는 데 대해 "단순한 스파이 활동을 넘어 위기 시 미국의 군사 동원 저지 또는 민간 혼란 유발을 위한 준비로 보인다"라고 경고했다.
김진수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수석부회장도 패널 토론에서 "기술 주권과 디지털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개인, 기업, 국가를 아우르는 사이버 안보 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사이버 보안 기업의 성장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AI 시대를 맞아 사이버 보안은 더 이상 개인과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사이버 공격은 개별 기업을 넘어 산업 전반과 국가 이미지, 나아가 국제 신뢰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제 개별 기업 차원의 정보보호를 넘어 디지털 주권 보호 차원에서의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h@yna.co.kr
Copyright 연합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상품 확인하고 계속 읽어보세요!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