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불편하시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최소주문액 1만4천원대…실효성 검증위한 업주 협의체 구성해야"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배달앱 배달의민족이 추진하는 '1만원 이하 주문 중개수수료 면제'가 실효성이 없다는 소비자단체의 지적이 나왔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배민의 수수료 면제 정책은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주문 자체가 드문 구조"라며 "실효성에 구조적 한계가 있다"고 비판했다.
배달앱 최소 주문 금액이 대부분 1만원을 넘어 수수료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주문 자체가 매우 드물다는 것이다.
이 단체가 작년 하반기 배달앱 입점 외식업주 5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 조사에서 배민, 쿠팡이츠, 요기요 등 주요 배달앱의 최소 주문 금액은 평균 1만4천원대로 나타났다.
공공배달앱의 경우에도 최소 주문 금액은 평균 1만3천원대로 조사됐다.
업종별로 봐도 최소 주문 금액은 1만원을 초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중화요리와 치킨, 분식 등 주요 외식업종 전반에서 '1만원 이상' 설정이 보편화돼 있고, 일부 디저트와 커피류 등에서만 1만원 이하 주문이 가능했다.
다수 업주는 이 조사에서 "소액 주문 자체를 받지 않는 구조가 이미 정착돼 단순한 수수료 면제는 실질적인 체감 효과가 없다"고 답변했다.
이에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배민의 정책이 실효성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업주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 단체는 "배달 수수료 면제가 진정한 상생으로 작동하려면 업주와 소비자 모두의 주문 구조를 반영한 정교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1만원 이하 주문이 많아지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소액 주문 중심 업종에 대한 시범 적용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지난 19일 1만원 이하 주문에 대한 중개이용료를 전액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우아한형제들은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소액 주문에 대한 지원을 통해 주문량은 늘고 외식업주의 부담은 줄 것으로 내다봤다.
sun@yna.co.kr
Copyright 연합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상품 확인하고 계속 읽어보세요!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