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불편하시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산기협, 산업계 오피니언 리더 100인 대상 새 정부 정책 설문조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제공]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산업계 리더들이 새 정부가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인공지능(AI) 대전환(AX) 지원과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및 혁신성장 체계 구축을 꼽았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6일 이런 내용의 '새 정부 정책공약 관련 산업계 오피니언 리더 100인에게 묻다'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기업 C레벨 직책 이상 보유자로 구성된 산기협 오피니언 리더그룹 100인을 대상으로 과학·산업기술혁신 분야에 한정해 4~10일 진행됐다.
이들은 새 정부의 이 분야 정책공약과 관련해서는 명확성(5점 만점에 3.64점), 수용성(3.91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효과성(4.04점)에도 높은 점수를 줬다.
반면 실행계획 구체성과 산업 현장 적용 가능성을 묻는 실행 가능성은 3.29점으로 가장 낮았다.
새 정부의 정책 중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1순위로는 AI 대전환(AX) 지원이 25%로 가장 많았고, R&D 예산 확대 및 혁신성장 체계 구축이 22%로 뒤를 이었다.
2순위에서는 R&D 예산 확대가 23%, AX 지원이 19%로 많았고 국가첨단전략산업 혁신생태계 조성이 16%로 뒤를 이었다.
지난 4월 산기협이 발표한 산업기술혁신 정책 건의 중 가장 먼저 포함돼야 할 정책으로는 R&D 제도개선 협의체 도입이 19%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R&D 조세 측면에서는 기업의 R&D 투자 증가분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 도입이 29%로 가장 높았으며, R&D 세액공제 환급제·거래제(25.5%)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은 새 정부에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부정책 추진'을 가장 바랐으며 중소기업 연구인력에 대한 보조금 지원, 산학연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혜택 강화 등도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꼽았다.
고서곤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경기침체 장기화 및 성장잠재력 둔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의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 직면한 우리 기업들이 새로운 정부 출범에 거는 기대감은 매우 크다"며 "새 정부의 투자 확대와 인력 지원, 규제 완화 등 전폭적인 지원 정책이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유인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shjo@yna.co.kr
Copyright 연합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상품 확인하고 계속 읽어보세요!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